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7

7월 무역수지 흑자 (이유, 불황형흑자 의미, 수출입 품목) 한국의 무역수지가 6월에 이어 7월에도 흑자를 기록하여 2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그러나 수출은 10개월째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어떻게 흑자를 달성했는지, 품목 별 수출 성과 및 수입액, 그리고 이번 흑자 기록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7월 무역수지 흑자 의미 무역수지 흑자 기록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수출은 503억 3,000만 달러, 수입은 487억 1,000만 달러로 기록되어 무역수지는 16억 3,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3월부터 올해 5월까지 15개월연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6월에 흑자로 전환하였으며 7월까지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수출액은 전월 대비 16.5% 감소하여 503억 3,000만 달러로 나타났.. 2023. 8. 1.
기준 중위소득 (2024년 갱신, 인상, 급여별, 가수원 수 별 기준표) 224년 기준으로 4인 가구의 중위소득이 올해보다 6.09% 상승하여 572만 9,913원으로 결정되었다고 보건복지부가 발표했습니다. 이는 2015년 기준 중위소득 도입 이후 최대 인상폭이며, 3년 연속 5% 이상 증가한 것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관련한 혜택 정보는 ▼ 아래 영상을 참고하세요.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더욱 많아진 혜택 기준 중위소득 상승 중위소득이 상승하면 복지 정책 수혜자가 증가하게 됩니다. 보건복지부는 제70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하여 2024년 기준 중위소득과 복지 급여별 선정 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을 심의하고 결정했습니다. 중위소득은 국내 가구소득에서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으로, 경제지표 등을 고려하여 기준 중위소득을 설정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 .. 2023. 7. 31.
특례보금자리론 금리인상 (이유, 적용시기, 일반형, 우대형 동결) 주금융공사(HF)의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주담대인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가 6개월 만에 오른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주택금융공사는 오는 8월 11일부터 특례보금자리론 중 일반형(주택가격 6억원 초과 또는 소득 1억 원 초과 대상) 금리를 0.25%포인트 상향 조정할 계획입니다. 👇 특례보금자리론 금리인상 원인 등 상세보기 👇 특례보금자리론 금리인상 이에 따라 기존 연 4.15%(10년)∼4.45%(50년)의 일반형 금리는 연 4.40%(10년)∼4.70%(50년)로 올라갑니다. 주택금융공사의 일반형 금리 인상 결정은 지난 1월 말 출시된 이후 3월부터 5개월에 걸쳐 동결됐던 것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주금공은 이러한 결정에 대하여, 재원조달비용 상승, 신청 추이 등을 감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례보금자리.. 2023. 7. 31.